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 파견사업은 KOICA와 경상북도 간 체결한 업무협조 약정에 의거 추진되는 공동사업으로 World Friends Korea의 저변 확대와 새마을 운동의 아프리카 및 아시아 보급을 통한 국제적 빈곤퇴치 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은 팀제 봉사단(4~6명/1팀)의 형태로 시범마을의 현장사업 수행을 담당합니다.
- 새마을 리더 해외 봉사단
- 1년 2개월
- 추진경과
2009.04.23 KOICA-경상북도 농촌개발분야 MOU 체결
2010.03.08 경상북도,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 파견사업 관련 업무협조 요청
2010.03.09 2010년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 파견 시작
2011.01.28 경상북도, 2011년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 파견 확대 건의
2013.02.12 2013년도 경상북도 사업계획 접수 (선발파견 및 시범마을조성사업 관련 협조요청)
2014.01 2014년 신규 파견 마을 및 마을 수요조사 실시(경상북도 확대 건의)
(7개 시군에서 예산 지원/포항, 안동, 구미, 영천, 청송, 청도, 예천)
모집 직종 및 활동분야
사회복지, 농업
지역개발, 축산
보건일반
- - 의식개혁 : 새마을 조직결성 및 교육, 보건ㆍ위생교육 등
- - 환경개선 : 주거(부엌, 화장실, 지붕) 및 마을안길 보수 등
- - 소득증대 : 재봉교육, 비누제작, 가축은행 및 농업기술전수
- - 인프라개선 : 교량 가설, 저수지 조성, 마을회관, 학교, 유치원 건축 등
자격요건 및 우대사항
- 봉사정신 투철한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남녀 (단, 남자는 병역을 필했거나 면제된 자)
※ 시니어 단원 : 만 50세 이상으로, 반드시 해당직종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자(경력이 10년 미만일 경우 일반봉사단)
- 해당국가가 요청하는 자격기준(자격, 경력 등)에 해당되는 자
- 영어 또는 현지어 능통자(현지에서 의사소통 가능한 자) 우대, 오다전문가 자격증 취득자 우대
- 오다(ODA)전문가 자격증 취득자 및 ODA교육원 교육수료증 소지자 우대 (단, 남자는 병역을 필했거나 면제된 자)
- 국가 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해외봉사활동을 수행하는데 심신이 적합 또는 건강한 자 (의료 환경이 열악한 개도국에서 활동해야 하는 바, 엄격한 신체검사 기준 적용)
모집에서 해외봉사활동까지
-
모집
- 새마을리더봉사단 모집기간에 홈페이지에서 지원서 제출
- 연간(1회) 모집, 모집시 분야별 선발 -
선발
- 1차전형 : 서류심사를 통해 지원 직종과 관련된 전문성 검증(전공, 경력, 자격증, 등)
- 2차전형 :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기술 및 일반 면접, 봉사단 적합도 검사 진행
(기술면접) 지원 직종에 대한 전문지식 점검, (일반면접) 봉사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소양 평가, (적합도 검사) 면접대기실에서 실시
- 신체검사 및 증빙서류 제출 : (대상) 2차 전형 합격자 , (신체검사) 1차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필요시 2차 검진 추가 진행,
(서류제출) 학력, 자격, 경력 등을 증명하는 서류 제출 -
발표
- 국내교육대상자 발표 : 모집부터 국내교육대상자 발표까지 8주 내외 소요
(신체검사, 신용조회, 신원조사 결과 특이사항이 있는 자는 불합격 처리되며, 면접결과와 직종 적합성을 고려하여 최종 국내교육대상자를 선발) -
교육
- 국내교육 : 현지어교육, 자기계발, 봉사정신함양을 위한 8주 내외의 합숙교육 참여 (당해년도 상황에 따라 변동가능)
- 현지적응교육 : 파견 후 현지어 심화교육 및 현지문화습득, 파견예정기관 OJT 등 현지정착을 위한 8주내외의 합숙교육 참여 -
봉사
활동- 해외봉사활동 : 출국일로부터 14개월간 활동
* 자세한 일정은 홈페이지의 모집선발 > 모집일정을 참고하세요.
지원내역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해외봉사단원의 원활한 해외봉사활동과 소중한 해외경험의 활용을 위하여 국내교육부터 귀국 후까지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국내교육
- 국내교육수당 및 운동복, 생필품 등 교육에 필요한 물품
- 출국
- 출국준비금, 항공료(왕복), 예방접종 등 출국에 필요한 비용 지원
- 해외봉사활동
- 생활경비 : 현지정착비, 현지생활비, 주거비
- 활동경비 : 현장사업지원비, 활동물품
- 안전관리 : 상해 및 재해보험, 긴급의료지원 서비스(국제SOS보험)가입
- 건강관리 : 건강검진, 의료비, 의료상담 제공
- 귀국
- 귀국준비금, 항공료, 화물탁송료, 국내 정착지원금
- 귀국 후
- 국내 정착지원금(자문단 제외), 취업지원(커리어센터), 해외봉사단 지역 네트워크, 한국해외봉사단연합회(KOVA) 활동,
월드프렌즈 장학금, 활동경험담 출판 지원